중앙대학교 건축학부 중앙건축전

Chung-Ang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Architecture Exhibition
2022

  • Exhibition 2022
    • All Projects
    • Architecture 1
    • Architecture 2
    • Urban Design
    • Construction
    • Structure
    • Green & Sustainability
  • Exhibition 2021
    • All Projects
    • Architecture 1
    • Architecture 2
    • Urban Design
    • Construction
    • Structure
    • Green & Sustainability
  • Exhibition 2020
    • All Projects
    • Architecture
    • Urban Design
    • Regeneration
    • Construction
    • Structure
    • Green & Sustainability
    • Alumni
    • Support
  • Studio 2022
    • 4th Grade
    • 3rd Grade
    • 2nd Grade
  • Studio 2021
    • 4th Grade
    • 3rd Grade
    • 2nd Grade
  • Studio 2020
    • 4th Grade
    • 3rd Grade
    • 2nd Grade

Studio 2021

Live In Neighborhood, Kids

함께 키우며 살아가는 공동육아 마을

2021 3rd Grade

행복가로 노인주택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주민센터 결합형 노인주택

2021 3rd Grade

Often Library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에 위치한 문화복합시설로서의 도서관.

2021 4th Grade

아현고개에 오르다

Big & Small 복합단지 개발

2021 4th Grade

HABLIE POLIS

고소득 직장인을 위한 High end All in Village

2021 3rd Grade

A.P.L

동네의 모습이 녹아든 도서관에서 찾은 추억 속 골목길

2021 2nd Grade

COLOR_L clustered school

경기도 광주시 태전중학교 공모전. 교과교실제(홈베이스형)로 학생들이 직접 교실을 찾아 수업을 듣는 학교 설계

2021 3rd Grade

Promenade

Interaction with Book, People, and Body

2021 2nd Grade

GreenRamp Library

자연 친화적인 ‘Green’의 요소가 들어가는 도서관

2021 2nd Grade

CLOUD N!NE

양평동 유휴지를 활용한 양평 공공복합시설 제시

2021 4th Grade

The Embrace

다양한 세대를 포용하는 도서관

2021 2nd Grade

THE HELIX

순환고리의 평면, 그리고 이어지는 시설과 환경들

2021 2nd Grade

Bird Forest

살아있는 자연과 공생하는 법을 배우는 도서관

2021 2nd Grade

Making school, Make the community

지역사회와 과정을 공유하는 학교

2021 3rd Grade

AGING in BANGBAE

Growing Older at Home

2021 3rd Grade

두 동네

노량진 뉴타운 재개발에 따른 필요 문화시설 공급

2021 2nd Grade

M,X

scale과 밀도의 bufferspace

2021 4th Grade

INTERSPACE TRINITY OF SEOCHON

2021 2nd Grade

Green✽나래_Community Garden School

지역주민과 함께 가꾸는 공동체 텃밭 학교

2021 3rd Grade

Green Distancing Library

녹지공간을 통한 도서관 속 거리두기

2021 4th Grade

Bumper Mix Museum

코로나 이후 새로운 시스템의 미술관 설계 제안

2021 4th Grade

T.O.M.S. LIBRARY

도심속에 빈 공간, 도서관

2021 2nd Grade

Stack and Extrude

넓은 실외공간, 경사로와 건축의 조화

2021 2nd Grade

의도적 만남

피아짜 공간을 통한 유아의 의도적 만남 형성

2021 2nd Grade

담장

세 가지 색의 놀이터, 이를 둘러싼 담장

2021 2nd Grade

Play-Ground_ 어린이집, 놀이의 공간

유기적인 야외 놀이공간들을 중심으로

2021 2nd Grade

다람아 유치원

공간의 분리와 요소의 조합, 야외영역 중점의 유치원 설계

2021 2nd Grade

AXIS: TOWARDS SOCIETY

‘첫 사회화 장소로서 아이들이 새롭게 마주하는 순간들을 돕는, 그런 공간을 꿈꾼다.’

2021 2nd Grade

보금자리 어린이집

보살핌과 관심 속에서 또래를 만난다

2021 2nd Grade

Hillside Kindergarten

흑석 언덕길 어린이집

2021 2nd Grade

NEW WALL: HIS-EDU Island

한양도성 순성길의 벽의 개념을 적용 시킨 캠벨 선교사 주택 재생

2021 3rd Grade

송림

송림시장의 독특한 건축공간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

2021 3rd Grade

From Alley

Senior Co-Housing starting From Alley

2021 3rd Grade

FRAME:開闢

An Opening to New Technology

2021 3rd Grade

청년주거 공유 플랫폼

고밀도의 신림 원룸촌에 생활 SOC를 결합한 청년주거

2021 3rd Grade

Green-reSPIRATOR

고령화 도시의 녹색 재생

2021 3rd Grade

OPEN LINK MEMORIAL MUSEUM ; INCHEON LABOR

동일방직 사건 배경의 어매니티 4개동 재생

2021 3rd Grade

zig – zag

예지동 시계골목의 변화

2021 3rd Grade

LE, FLUXUS

동대문 고유의 가치를 재유입시키다.

2021 4th Grade

HI LINE under forest

고가철도로 인해 단절된 부지에 새로운 시스템과 방향성을 제시하다

2021 4th Grade

MEDIA ; (T)ATION

매체를 통한 물리적인 도시공간 중재

2021 4th Grade

Link the flow

철도부지로 인한 단절을 도시 프레임을 투영해 회복시키다

2021 4th Grade

(0, 0, 0)

광화문 광장의 공공성, 수직적으로 이어진 공간에서 일하는 현대인

2021 4th Grade

Figure & Ground

도시공간은 다양한 볼륨, 혹은 보이드로 존재한다.

2021 4th Grade

Two Rings in the Park

도심과의 연결을 통한 보라매공원의 활성화

2021 4th Grade

첩첩산중: MULTI-LAYERED PARK

보라매 공원에 포개어진 ‘여가생활’ 클러스터

2021 4th Grade

Garibong Cultural Centre

도시의 두 그레인을 이용한 문화 공간

2021 4th Grade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

© 2022 CAU Schoo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Designed by Websode →

Scroll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