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샛 ː 나루_사이의 선착장
수변 공간을 중심으로 여의도 공원 재편성
수변 공간을 중심으로 여의도 공원 재편성
고가철도를 활용한 창업지원시설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남영동 상업 활성화
-scape / -synch/ trans-
채움과 비움 그리고 다시, 채움
Community Garden in School as Social Infrastructure
History Culture City Converge to the Architecture, Architecture Disperse to the City
사당역 부근 도시거점 조성
랜드마크로 서울을 회복하고 새로 덮다.
지역사회의 학교가 마을 속의 열린 광장이 되는 곳
주민 복지 및 지역 단절 해결 위한 청량리역 검수차고 재생
개미마을 주거지 재생을 통한 복지공간 형성
a Silver Playground for Active Adults
수제화 거리의 건축자산을 활용한 공간복지 및 재생 프로젝트
거주민과 외지인, 건물과 골목, 그들 사이에 맺어갈 관계
흑석빗물펌프장 재생프로젝트
현대사회 바쁜 직장인들이 살아가는 ‘비일상적 삶’의 ‘일탈 장소’를 제시한다.
활력! 열려라 야관문
느림의 미학을 담은 주거공간
Hall 중심의 barrier-free 주택
산책을 통한 소통
프리다 칼로, 불행했던 삶의 흔적을 지우다.
함께하는 복도로 자립적인 주체로 성장하다
다양한 형태의 소통이 이뤄지는 주거공간
중정의 재해석을 통해 하나되는 가족의 새로운 집을 제안한다.
소통, 회복 그리고 극복
Open cultural space along the hill
Boundless/Playground/Network
감싸고 아우르고 바라보다
Living with the Library
흑리단길, 흑석동의 재탄생
흑석, 과거를 통해 온기를 높이고 새롭게 다시 태어나다
부족한 문화시설을 공급하다
도서관과 놀이터의 결합; 새로운 공간
팬데믹에 대응 가능한 가변적 도서관
종로, 책의 거리의 재해석
지역 성격을 존중한 재생산 프로그램과 “Skipsight”로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소통을 이루어냄
2030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이 담긴 ‘CO-LIVING’ 주거
How can school be a vertical playground.
복도를 걸으며 좌우에 펼쳐지는 다양한 장면
선택적 교류가 가능한 마당을 통한 가로 및 도시 주거 활성화
비질서화와 분산, 연결
캠퍼스 타운을 활용한 주거와 창업의 복합 시설
가로와 도시 그리고 주민들의 맞물림
1conomy 세대의 공유 도시주거
캠퍼스 타운, 개인과 공동의 삶을 담는 주거와 사회
beyond the new normal, agenda of culture space
유휴부지를 활용한 복합문화시설 및 어린이 공원
생활권 일부로 흡수된 문화생활공간
아리랑길에 걸맞은 미디어 특화 복합문화공간 조성
코로나 시대의 문화공간, 단절된 도시와 한강의 연결
청소년 복합예술공간
재생된 것들에 대한 체험과 경험을 위한 공간
전체와 부분의 모호함을 통한 다양성의 공존 방법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