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UNE
Trade Urban & Nature Efficiently
; 도시와 공원의 관계를 조율하다
Trade Urban & Nature Efficiently
; 도시와 공원의 관계를 조율하다
누구나 가능한 사회
폐캠퍼스 부지 재생을 통한 지역과 상생하는
장애인 자립 커뮤니티 플랫폼
Regenerating the old government office
유휴교실의 생활 SOC화를 통한 마을의 상생 거점 만들기
현재의 커뮤니티와 마을을 위한 응급처치를 제안합니다.
Passing Through Tunnel
터널, 주민과 보행자 중심의 문화적 연결 통로로의 재생
Sustainable Earth Sheltering in City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는 지식창고 조성 프로젝트
Spatial Tower with Balance
: Spread Sharing to Society
Lateral resistance system of high-rise modular building
보라매공원에 문화를 묻다
Factory Diaspora
LIVING, LOVING, LEARNING
마을 안 특수학교 프로젝트
층고를 절감 합성보 개발
버려진 시장, 돌봄 공간으로 변하다.
LINK IN PARK
시장에 들어가지 못한 상인들을 위한 시장
역사와 공간, 사람이 엮이는 경계없는 곳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인력수급의 체계화
한강을 단순히 도시 내 비워진 자연으로 정의되는 것을 넘어 도시전체 차원에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ER : 싱가포르 현장 건설기업의 전염병 리스크 대응 모델
모듈식 수상 주택단지의 설계
기부대양여 사업에서의 갈등해결 전략을 CM의 새로운 모델로써 제시하였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비계 프로세스 제안.
유진상가 재생 프로젝트
통합적 환경 구축을 통한 단절된 도시공원의 활성화
인천 부평미군기지 (구 일본육군조병창) 재생 프로젝트
용산 오리온공장과 주변부 재생
원도심의 죽은 공간을 깨뜨리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아 흩뿌리다.
공공을 위한 청소년 쉼터
BIPV Application on CAU 310
청년복합문화시설 및 일자리지원센터
스마트 요소를 활용한 융합과 자족적인 도시의 모습 제안
A Study of The Fire Characteristics of Piloti Structure
Uproading…
검은 돌 마을, 나무 따라 한강까지
공동 주거 : 같이 사는 생활의 방식
with Unit , Square, Bridge
사색적 삶을 위한 학교
Living
수축사회 신도시 이대로 괜찮은 것인가
Flexible Quarantine facilities
Indoor Air Clean Plan
경계를 통한 미쓰비시 줄사택지 재생 프로젝트
We will draw the day through 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