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F Project : No Fence, New Façade
아파트의 담을 없애고 저층부를 공공에게 내어주다
아파트의 담을 없애고 저층부를 공공에게 내어주다
세상의 다양한 이슈들과 급변하는 사회속에서 제시하는 미래 주거 계획안
햇빛, 녹색,에너지 절약
친환경 도서관
소통 증진을 위한 건설 안전 교육 메타버스 플랫폼
도시 역세권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 공원의 ‘도시공원 일몰제’문제해결을 위한 복합체육시설 건설
TMD와 자기부상열차의 원리를 결합한 내진설계
아치구조와 트러스 구조를 이용한 70m 장스팬 구조물
브레이싱 배치에 따른 튜브 시스템의 횡적거동 특성 비교 및 해석
메가 브레이싱을 통한 모듈러 구조의 고층화
TC합성구조를 적용한 고층빌딩의 지속가능성 및 구조 분석
노후화된 도서관의 에너지 감축을 위해 Passive, Active, Renewable Energy를 개선, 적용하여 그린리모델링
인간, 자연, 건축을 세 가지 요소로 통합한 도서관
노후화된 도서관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건물 에너지 절감
40년 이상 된 수도권 노후 단독주택의 그린 리모델링 시공 가이드라인
합성데이터 학습 기반 인공지능 탑재 타워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기술
현장 내 폐기물 분류를 위한 보관소 면적 표준안 산출
건설현장의 동적 변화로 발생하는 안전 사각지대의 탐지
뷰티 산업 및 문화 클러스터: 근로자에게는 쾌적한 근로환경을, 시민에게는 푸른 도시환경을 제공하다
도시에 남아있는 대규모 유휴부지 재생으로 과거 도시 개발로 끊겼던 여러 맥락을 다시 회복하고 이어준다
도시속 노후된 공간과 건물의 건축적 재해석
기존 용마랜드를 ‘도시 속의 숲’의 사진 박물관으로 재구성
새로운 소비 주체를 위한 새로운 백화점
더 이상 혐오시설이 아닌 자원회수시설 설계
지속 가능한 공원 조성 및 활성화
역세권과 수변공원을 연결하는 휴식기능 중심의 입체복합개발
양평군 클린턴휴게소 재생 프로젝트
도심 속 납골당과 도시농업 공간 제안
도시 곳곳의 공원으로 퍼져나가는 작은 식물원
의도된 공간, 우연한 만남
Nature and artifice blend harmoniously in the urban tapestry
이면도로에서의 새로운 주거 개발방식 제안
알뜨르 비행장 정비 프로젝트
사회적 현상에 대응하여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학교
1차의료기관과 생활 SOC의 복합 클러스터
공연장을 통한 여의도 – 한강공원 연결 프로젝트
물과 불의 나라 아이슬란드 바다에 지열발전 리조트가 들어서다
부곡하와이의 이야기들
어린이들을 위한 삶의 장소로서의 유치원
2025 고교학점제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미래의 고등학교
사람들의 기억을 저장하고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
부천식물원 생태에 스민 문화의 순환
답십리 고미술 상가 재생+복합 문화∙예술 공간 형성
판문점 지하에 조성된 분단 전시관과 분단의 상징 위에 새롭게 세워진 스포츠 파크
소통의 소리가 곧 창조다. 읽고 걸으며 이야기 할 수 있는 자유로운 도서관.
A Futuristic Playlist of Human Migration
사라져가는 주유소, 복합용도의 전기차 충전시설로
지속가능한 주거를 위한 노인 공유주택
부천종합운동장 역세권을 중심으로한 첨단산업 문화복합단지 형성
Infill Type Modular를 이용한 청소년 쉼터의 전국적 보급